반응형
개인적으로 공부한 내용을 담은 포스팅이라 오타나 오류가 있을 수 있다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Chapter02. 기본
01. 다음 빈칸을 채우시오.
- 값을 만들어내는 간단한 코드를 식이라 한다.
- 표현식이 하나 이상 모여서 실행할 수 있는 코드가 되면, 이를 문장이라 한다.
- 특별한 의미를 갖는 단어로 처음부터 정해져 있는 단어를 키워드라 부른다.
- 이름을 붙일 때 사용하는 단어를 식별자라 한다.
- 참(true)과 거짓(false)을 갖는 값을 불(Boolean)이라 한다.
true || false
의 결과는 true이다.true && false
의 결과는 false이다.30 > 20 > 10
의 결과는 false이다.➡️ 30 > 20 → true → true > 10 → 1 > 10 → false
- 값을 저장할 때 사용하는 식별자로, 생성 이후에 값을 변경할 수 없는 것은 상수(const)라 한다.
- 값을 저장할 때 사용하는 식별자로, 생성 이후에 값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변수(let)이라 한다.
- 상수를 만들 때는 const 키워드를 사용한다.
- 변수를 만들 때는 let 키워드를 사용한다.
- 자료형을 검사할 때는 typeof 키워드를 사용한다.
- 숫자 자료형이지만 숫자가 아닌 것을 의미하는 NaN이라는 개념이 있다.
02. 다음 질문에 OX를 표시하시오.
- 자바스크립트는 문장 마지막에 문장을 종결한다는 의미로 반드시 세미콜론(
;
)을 적어야 한다. 답: X
➡️ 세미콜론은 선택적이지만, 명확성과 오류 방지를 위해 사용하는 것이 좋음. - 자바스크립트가 처음 만들어질 때 정해진 단어였던 키워드는 자바스크립트가 발전하면서 조금씩 추가된다. 답: O
- 식별자를 만들 때는 특수문자
_
,$
만 허용한다. 답: O - 식별자는 공백을 포함할 수 있다. 답: X
- 식별자는 숫자로 시작하면 안 된다. 답: O
- 주석은 프로그램의 실행에 영향을 준다. 답: X
- 한 줄 주석을 쓸 때는
//
기호를 사용한다. 답: O - 템플릿 문자열을 만들 때는 백틱 기호와
${}
기호를 사용한다. 답: O - 자바스크립트는 변수에 값을 넣어 자료형이 한 번 결정되면, 이를 이후에 변경할 수 없다. 답: X
➡️ JS는 동적 타입 언어라 언제든 자료형을 바꿀 수 있음. 10 + '10'
의 결과는 ‘1010’이다. 답: O
➡️ 문자열끼리 더해져서 연결됨.10 * '10'
의 결과는 NaN이다. 답: X
➡️ 문자열'10'
이 숫자 10으로 변환되어 출력결과: 100.
03. 다음 중 키워드가 아닌 것은?
- for
- if
- const
- console
정답: 4번 console
console은 객체이며, 키워드(예약어)가 아닙니다.
04. 다음 중 false로 변환되는 것은?
'0'
'false'
''
20
정답: 3번 (빈 문자열)
JavaScript에서 false로 간주되는 값은 false
, 0
, ''
, null
, undefined
, NaN
등이 있으며, 여기서는 ''
(빈 문자열)만 false입니다.
05. 다음 중 함수나 메서드가 아닌 것은?
typeof(value)
alert(value)
console.log(value)
Number(value)
정답: 1번
typeof
는 연산자(operator)이므로 함수나 메서드가 아닙니다.
09. 다음 코드의 실행 결과를 적으시오.
const number = 10;
console.log(number++);
console.log(++number);
console.log(number++);
console.log(++number);
정답: 코드 실행 불가 (TypeError 발생)
const
로 선언된 변수는 값을 변경할 수 없으므로 number++
또는 ++number
를 수행하면 TypeError
가 발생합니다.
const number = 10;
console.log(number++); // ❌ 오류 발생
console.log(++number);
console.log(number++);
console.log(++number);
06. 다음 이스케이프 문자 중 줄바꿈으로 사용되는 것은?
\t
\n
\'
\\
정답: 2번
07. 다음 코드의 실행 결과를 적으시오.
console.log(52 + 273);
console.log("52" + 273);
console.log(52 + "273");
console.log("52" + "273");
정답:
console.log(52 + 273); // 325
console.log("52" + 273); // "52273"
console.log(52 + "273"); // "52273"
console.log("52" + "273"); // "52273"
08. 다음 코드의 실행 결과를 적으시오.
console.log(10 + 20 + '!!!!');
정답: '30!!!!'
숫자 + 숫자 → 덧셈
숫자 + 문자열 → 문자열 연결
반응형
'Programming Language > Javascript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입문](2판) 연습문제 - Chapter04. 반복문 (0) | 2025.04.27 |
---|---|
[자바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입문](2판) 연습문제 - Chapter03. 조건문 (0) | 2025.04.27 |
[자바스크립트 JavaScript] Math객체의 다양한 메소드 (0) | 2024.01.25 |
[자바스크립트 JavaScript] 객체 데이터 생성/삭제/확인하기 (0) | 2023.10.29 |
[자바스크립트 JavaScript] 객체에서 데이터 접근하기 (0) | 2023.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