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외활동/GDG on Capmus (GDSC)

(11)
GPU 하나로 2조 달러💸 찍은 기업의 비밀 – 엔비디아 SWOT 분석 총정리 “그래픽카드 팔던 회사가 어떻게 AI 시대의 제왕이 되었을까?” GPU 한 장에서 시작된 기술이 지금은 생성형 AI, 자율주행, 스마트팩토리, 메타버스까지 세상을 움직이는 심장이 되었어요.오늘은 지금 이 순간에도 주가·기술·실적 모두에서 하늘을 찌르고 있는 기업, ‘엔비디아(NVIDIA)’의 2025년 기준 최신 SWOT 분석을 정리하려고 해요.  왜 지금 엔비디아의 SWOT 분석이 중요할까? 🤔 AI 산업은 이제 단순한 기술 트렌드를 넘어산업 구조 자체를 바꾸는 ‘기반 기술’이 되었습니다.그리고 그 중심에는 단연코 엔비디아가 있습니다. ChatGPT, Bard, Gemini 등 초거대 AI 모델 훈련테슬라의 자율주행 훈련 인프라AWS, MS, 구글의 GPU 서버 인프라삼성, BMW의 디지털 트윈 시뮬..
AI의 심장, 엔비디아(NVIDIA)는 지금 어디까지 왔을까? 2025년 AI를 움직이는 진짜 기술은? 2024년 현재, AI·로봇·자율주행·메타버스까지 점령한 엔비디아의 최신 기술 트렌드와 혁신 제품을 지금 파헤쳐 봅니다.AI 슈퍼칩, 클라우드 GPU, 3D 메타팩토리 플랫폼까지… 엔비디아가 지금 어떤 기술로, 어떤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지 최신 자료 기반으로 정리해봤어요. (참고한 주료 링크: NVIDIA news https://nvidianews.nvidia.com/)  (1) 지금 엔비디아는 ‘GPU 회사’가 아니다?그래픽카드 하나로 유명했던 회사가, 지금은 세계 인공지능 산업을 좌우하는 기업이 되었어요.🤔 왜? 이유는 딱 하나, AI가 GPU 없이는 못 돌아가기 때문이에요.생성형 AI 열풍의 실질적인 엔진 = H100 GPU모든 클라우드 회사(AWS, MS, 구글) → 엔비디아 GPU 대량 채택자..
AI 황제 엔비디아, 왜 다들 GPU 달라고 아우성일까? - 2024년 엔비디아 실적 분석, 엔비디아 비지니스 모델 분석 AI 산업의 실질적인 '인프라 왕좌'를 차지한 엔비디아. 그들의 수익 구조와 기술력, 그리고 2025년에도 계속되는 '성장 행진'을 알아봅니다. 1. 엔비디아의 비즈니스 모델 분석1. GPU 판매, 그 이상의 수익 구조엔비디아는 단순히 그래픽 카드만 파는 회사가 아닙니다.지금은 AI·데이터센터·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을 주도하는 인프라 기업이죠.주요 수익원은 다음과 같아요 데이터센터용 GPU (A100, H100): AI 훈련·추론용으로 전 세계 클라우드 기업들이 채택게이밍 GPU (GeForce 시리즈): 여전히 큰 비중, 하지만 비중은 상대적으로 줄어듦소프트웨어 및 플랫폼: CUDA, AI 프레임워크, Omniverse 등자동차 및 산업용 솔루션: 자율주행용 칩(NVIDIA Drive), 로봇 플랫폼 2..
돈 되는 기술? 엔비디아가 이미 선점함 - 엔비디아(NVIDIA) 기업 철학 & 브랜딩 스토리 최첨단 기술과 혁신의 상징이 된 엔비디아(NVIDIA). AI, 자율주행, 클라우드 컴퓨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이 기업은 어떻게 세계적인 브랜드가 되었을까? 엔비디아의 역사부터 기업 철학, 그리고 강력한 브랜딩 전략까지 낱낱이 파헤쳐 보겠다. 엔비디아의 탄생과 성장 과정 1993년, 젠슨 황(Jensen Huang), 크리스 말라초스키(Chris Malachowsky), 커티스 프리엠(Curtis Priem) 세 명의 엔지니어가 실리콘밸리에서 엔비디아를 창업했다. 목표는 차세대 GPU(Graphics Processing Unit)를 개발하여 컴퓨터 그래픽의 혁신을 이루는 것이었다.1999년, 엔비디아는 세계 최초의 GPU '지포스 256(GeForce 256)'을 발표하며 본격..
GDG on Campus 연합 아이디어톤 (in 📍구글 스타트업 캠퍼스) 회고! 2024.11.01 20:00 - 22:00GDG on Campus 연합 아이디어톤 (in 📍구글 스타트업 캠퍼스) 회고!서울과학기술대, 성공회대, 한국외대, 서울여대, 국민대 총 5개의 대학이 연합한 아이디어톤 운영 회고!  연합 아이디어톤은 11월 1일 강남 대치동 Google Startups Campus에서 약 120명의 참여자들과 "교내 문제를 해결하는 IT 서비스"를 주제로 진행되었다. 각 학교에 있는 교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볼 수 있었다. 5개의 학교 운영진들과 소통하면서 재미있었다. 이런 규모의 연합 아이디어톤을 생각보다 빠듯했던 기간과 일정안에 문제없이 알차게 기획한 것 같아 뿌듯했다!! 같이 협력한 운영진 분들에게도 너무 수고하셨다고 말하고 싶다.당일에도..
PM 스터디 - [3주차] 유저 리서치 3주차 스터디 목표2주차 역기획안을 디벨롭 시키기!실제 유저 리서치를 진행하면서 인사이트를 확장시키자개인 의견이 아니라 증거 기반의 해결책을 제시해 더욱더 탄탄한 기획 근거를 만들 수 있다. 유저 리서치  왜 유저 리서치를 진행해야 할까? 유저 리서치 진행하기유저 리서치를 바탕으로 기획안 디벨롭 하기
PM 스터디 - [2주차] 역기획이란? 브랜드&경쟁사 조사 2주차 목표사용자의 관점에서 인사이트를 발견하고(1주차), 기획자의 관점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기서비스를 프로세스/데이터로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구상하는 능력 기르기서비스 관점 인사이트 기르기
PM 스터디 - [1주차] 서비스 기획자 마인드셋, 역기획을 위한 준비, 구글 애널리틱스 사용법 1주차 스터디 목표“사용자(고객)의 렌즈를 장착하고 끊임없는 인사이트를 찾아야 한다. 이것은 기획의 본질!”사용자 관점에서 서비스 분석하기일상에서 PM 마인드 셋 가지기서비스 관점에서의 인사이트 찾기 일상에서 시작하기: 디테일 모먼트 기록하기  Whys? 기법 구글 애널리틱스구글 애널리틱스 사용법은 특강처럼 진행해서 자료는 없다~!

반응형